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미래를 혁신하고 세계를 선도하는 UST

홍보자료

언론보도

UST, 새로운 교명 ‘국가연구소대학교’

작성자브랜드전략팀  조회수23,555 등록일2023-10-18
UST 잔디글씨 쪽에서.JPG [5,757.8 KB]


UST, 새로운 교명 국가연구소대학교


언론보도: [매일경제], [조선비즈], [머니투데이], [YTN], [대전MBC], [연합뉴스-1], [연합뉴스-2], [디지털타임스], [전자신문][노컷뉴스], [이데일리], [헤럴드경제], [뉴시스], [뉴스1], [대덕넷], [동아사이언스],  [아시아투데], [지디넷코리아], [파이낸셜뉴스], [중도일보], [충청투데이][대전일보], [부산일보][정보통신신문], [아이뉴스24], [BBS뉴스], [베리타스알파]

 

- 대학 고유의 특징을 담은 교명으로 브랜드 정체성 명확화, 통 용이성 제고, 설립구분 명확화

- 신규 U.I. 개발 후 202431일부터 신규 교명 공식사용 계획

- 설립 20주년 맞아 신규 VISION2033 수립... ‘글로벌 No.1 국가연구소대학선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가 국영문 교명을 국가연구소대학교(Korea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로 각각 변경했다. 영문 약칭은 기존과 동일하게 ‘UST’를 사용한다.


<교명 변경사항>


기존

변경

(국문명)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영문명)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약칭) UST

(국문명) 국가연구소대학교

(영문명)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약칭) UST(현행 유지)


ㅇ 신규 국문 교명은 UST 고유의 특징을 명칭에 그대로 담아 브랜드 정체성을 명확히 하고, 짧고(8명료한 이름으로 소통 용이성을 제고했다. 영문 교명은 정부 직할이자 한국의 대학원인 점을 반영KoreaNational을 추가해 설립 구분을 명확히 했다. 약칭은 대다수의 지지를 받은 UST를 유지하기로 했다.

ㅇ 기존 국문 교명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는 긴 명칭(12)으로 가독성과 기억 및 발음 용이성이 낮은 점, 정부 직할 대학이자 국내 유일의 차별화된 설립취지의 특성화 대학원임에도 이러한 고유의 특징이 명칭에 반영되어 있지 않은 점 등에 따라, 지난 20년간 다수의 구성원들로부터 지속적으로 교명 변경 요구를 받아 왔다.

ㅇ 이에 따라 UST는 올해 설립 20주년을 계기로 지난해부터 교명 변경을 검토, 내부구성원(학생, 교원, 동문, 직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그 결과 구성원의 약 80%가 교명 변경에 찬성함에 따라 올해 교명변경 추진위원회 구성 등 본격적인 변경 절차를 진행했다.

지난 4월에는 졸업생, 학생, 교원, 직원, 출연연 재직자를 대상으로 신규 교명 공모를 실시해 700여개의 교명 후보를 접수받았으며, 유사중복 교명을 병합했다. 이후 교명변경 추진위원회의 대학 설립취지 및 철학, 구성원 요구사항, 대외적 인식 검토, 과기정통부 및 교육부 협의, 대학평의원회와 설립연구기관장회의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안을 도출하였고, 지난 925일 대학원대학운영위원회(이사회격) 의결을 통해 신규 교명을 확정했다.

UST는 변경된 교명을 반영한 신규 U.I.(University Identity) 개발을 거쳐 내년(2024) 31일부터 신규 교명과 U.I.를 공식 사용할 예정이며, 이공계 대학()생 및 대국민 인지도 제고를 본격화 할 계획이다.

 

UST글로벌 No.1 국가연구소대학으로 신규 중장기 비전(UST VISION 2033)을 선포한다.

UST는 신규 중장기 발전계획(UST VISION 2033)을 수립, 20주년 행사가 개최되는 1020(), 이를 공식 선포하고, 향후 세계적 최고 수준의 연구성과를 창출하는 국가연구소대학으로 성장한다는 비전을 명확화 할 계획이다.


ㅇ UST는 비전 달성을 위해 글로벌 핵심 인재 양성 확대’, ‘연구 현장 교육시스템 강화’, ‘수요 기반 특화교육모델 확립’, ‘지속가능한 대학 운영 기반 확립4대 발전목표, 8대 전략과제를 구성하였다.

ㅇ 또한 향후 10년간 구조적 변화(대학의 지속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 재설정), 질적 변화(스쿨 인재양성 역량의 질적 성장을 통한 세계적 경쟁력 확보), 협력적 변화(국내를 넘어 세계 최고 수준의 국가연구소대학으로 브랜드 강화)를 동시에 추진해 비전을 실현할 계획이다.



ㅇ 한편, 2006년 첫 졸업생을 배출한 UST는 졸업생들이 산관 각 분야에 진출해 핵심인재로 역할하고 있으며, 설립 20주년이 경과하며 각 분야에 리더급으로 성장하는 졸업생 사례가 본격 등장하고 있다.

   - 특히, 2022년 후기 기준, 내국인 졸업생 총 2,267중 약 220명이 28개 출연연에 정규직 취업(10%)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출연연 주요 보직자(국책연구과제 책임자급)가 다수 등장, 국가연구기관에서 학위과정을 수행하며 고유의 전문지식 및 연구 노하우를 함양한 졸업생들이 출연연에서 중장기 국책연구를 이끌어가는 인재로 성장한 선순환을 보여주고 있다.

  - 또한 국내외 대학 전임교원, 산업체 최고기술경영자(CTO), 정부/공공기관 정책 관계자 등 전 분야에서 활약하는 졸업생이 지속 증가하고 있다.